2025년 5월 RBA 기준금리 인하와 향후 전망

반응형

2025년 5월 20일, 호주 중앙은행(RBA)은 시장의 기대대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해 3.85%로 조정했습니다.

이는 올해 두 번째 금리 인하로, 2023년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가 4% 이하로 내려간 것입니다. 

이번 조치는 지속되는 경기 둔화와 고용시장 약화, 낮은 소비심리를 완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분석됩니다.

금리 인하는 기존 주택 담보 대출자에게는 희소식이지만, 그 여파는 복합적으로 시장에 작용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 기준금리의 의미부터 시중금리 현황, 향후 전망까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그럼 출발!

금리인하와 부동산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를 이용하세요.

2025.05.22 - [호주 일반 정보] - 2025년 호주 부동산 시장은 어디로?(금리인하와 외국인 투자 제한)


🇦🇺 RBA란?

RBA는 “Reserve Bank of Australia”의 약자로, 호주의 중앙은행입니다.

즉, RBA는 한국의 한국은행(Bank of Korea)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호주의 통화 정책과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 RBA의 기본 정보

항목 내용
정식 명칭 Reserve Bank of Australia (RBA)
설립 연도 1960년 (이전에는 Commonwealth Bank의 일부)
소재지 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NSW) 65 Martin Place, Sydney
총재(Governor) 2025년 기준: Michele Bullock (첫 여성 총재)
법적 근거 《Reserve Bank Act 1959》
웹사이트 www.rba.gov.au

 


🏦 RBA의 주요 기능과 역할

RBA는 호주의 통화·금융 정책을 총괄하며,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기준금리 결정 (Cash Rate)

  • 매달 통화정책회의(RBA Board meeting)를 통해 금리 수준을 결정합니다.
  • 이 금리는 호주 경제 전체의 대출금리, 예금금리, 환율,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칩니다.

2. 💰 통화 발행

  • 호주의 지폐 발행 책임이 있습니다. (호주 주화는 Royal Australian Mint가 담당)
  • 세계 최초로 고분자(플라스틱) 지폐를 도입한 중앙은행이기도 합니다.

3. 🧩 금융 시스템 안정

  • 호주 내 금융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 유지를 위해 감독 및 리스크 평가를 수행합니다.

4. 💳 결제 시스템 관리

  • 실시간 총액결제 시스템(RTGS) 등 지불결제 인프라를 운영합니다.
  • RITS (Reserve Bank Information and Transfer System)라는 시스템을 통해 운영됩니다.

5. 🌍 외환시장 참여

  • 외환보유액 관리 및 시장 안정을 위해 필요 시 외환시장에 개입합니다.

 RBA의 조직 구조

  • RBA Board (통화정책위원회): 총재, 부총재, 재무부 장관 지명 위원, 독립 민간 위원 등으로 구성
  • 독립성 보장: 정부가 RBA의 결정에 직접 개입할 수 없도록 법률로 독립성 보장

RBA의 목표 세 가지 (Reserve Bank Act 1959)

  1. 통화 가치 안정 (price stability)
  2. 완전 고용 (full employment)
  3. 경제 번영과 복지 증진 (economic prosperity and welfare)

이 세 가지 목표를 균형 있게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조율합니다.

현재는 연 2~3%의 물가 상승률을 적정 목표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RBA가 발표하는 기준금리(Cash Rate)는 시중은행들이 서로 하루 동안 자금을 빌리고 빌려줄 때 적용하는 ‘초단기 시장 금리’의 기준값입니다. RBA는 시장에서 유동성을 조절해 이 기준금리에 근접하도록 유도하며, 이로 인해 전체 금융시장 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즉, 기준금리는 경제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계와도 같습니다.


금리 인하 배경

RBA의 이번 결정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되고 있으며, 특히 서비스 부문에서 그 추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입니다. RBA는 핵심 인플레이션이 2021년 말 이후 처음으로 목표 범위인 2~3%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 성장률이 2025년 말까지 2.1%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이전 전망치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소비자 지출 부진과 글로벌 수요 약화가 이러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시장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번 금리 인하로 인해 호주 주식시장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ASX 200 지수는 48.20포인트(0.58%) 상승하여 8,343.30을 기록했으며, All Ordinaries 지수도 0.57%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하가 첫 주택 구매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투자자와 기존 주택 소유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주택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첫 주택 구매자들의 진입 장벽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기준금리와 시중금리는 왜 다를까?

기준금리가 인하되었다고 해서 은행이 바로 모든 대출금리나 예금금리를 똑같이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시중금리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함께 반영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 (국내외 채권시장 금리 포함)
  • 신용 리스크 및 대손비용
  • 운영비용과 마진
  • 금융시장 기대심리 (예: 금리 향방에 대한 전망)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인하되더라도, 은행이 대출금리는 0.10%만 내리거나, 예금금리는 거의 그대로 둘 수도 있습니다. 즉, 은행은 자신들의 수익성과 유동성을 고려해 금리를 전략적으로 조정합니다.


📊은행 금리는 어떻게 되나?

🏠 주택담보대출 금리 (Mortgage Rates)

2025년 5월 20일, 호주중앙은행(RBA)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하여 3.85%로 조정함에 따라, 주요 은행들도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은행이 0.25% 인하를 하고 있습니다.

  • NAB: 5월 30일부터 0.25%포인트 인하 적용
  • ANZ  Commonwealth Bank (CBA): 5월 30일부터 인하 적용
  • Westpac: 6월 3일부터 인하 적용
  • Macquarie Bank: 5월 23일부터 인하 적용  
  • 최저 금리: 5.40%(Unloan)

현재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일반적으로 약 6% 수준으로, 팬데믹 이전의 약 2%대에 비해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 예금 금리 (Term Deposit Rates,6~12개월 정기예금 기준)

  • 최고금리: 4.75%
  • 기타 주요 은행: 4.0~4.5% 수준
  •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일부 은행은 예금 금리도 하향 조정 중

향후 전망

RBA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AMP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셰인 올리버는 2026년 초까지 세 차례의 추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NAB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샐리 올드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 있는 기회라고 평가하며, 50bp의 금리 인하를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앞으로 호주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필요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RBA는 다음 통화정책 회의를 2025년 7월 7~8일에 개최할 예정입니다.

향후 호주 경제 지표와 글로벌 경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금리 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호주에서 주택을 구입할 예정이거나 투자하실 분이라면 금리인하와 관련된 정보를 꼭 확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