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영주권 정공법: 독립기술이민(Subclass 189)

반응형
 “점수만 높으면, 누구의 도움도 없이 영주권을 받는다!”

 

호주 이민을 고민 중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

Subclass 189 – 독립기술이민 비자는 말 그대로, 고용주나 주정부의 도움 없이 오로지 내 실력으로 영주권을 받는 방법입니다.

마치 시험을 잘 보면 스스로 합격할 수 있는 제도처럼, 점수만 충족된다면 초청을 받아 바로 영주권자가 될 수 있는 루트죠.

물론 그 길이 그리 쉽지만은 않습니다. 점수가 되어도 초청을 받아야만 가능하고, 게다가 그 관문도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영주권의 첫 번째로 독립기술이민에 대해 알아볼게요.


🧭 Subclass 189란?

Skilled Independent visa (Subclass 189)는 호주 기술이민 비자 중 유일하게 고용주나 주정부의 스폰서 없이 신청 가능한 영주 비자입니다.

  • 영주권(Permanent Residency)
  • 포인트 기반 시스템으로 운영
  • 연방정부 초청(Invitation)을 받아야 신청 가능
  • 승인 시 호주 어디든 거주·취업 가능
  • 배우자 및 자녀 포함 가능

✅ 주요 특징

항목 내용
비자 종류 영주권 (PR)
스폰서 필요 없음 (독립 신청)
직업 목록 MLTSSL (Medium and Long-term Strategic Skills List)
신청 방식 포인트 테스트 기반 (최소 65점 이상)
나이 제한 만 45세 미만
영어 요건 IELTS 6.0 이상 (전체 및 각 영역), 또는 PTE/TOEFL 등 동등 시험
비자 혜택 호주 전역에서 거주, 근무, 학업 가능 / Medicare / 시민권 신청 가능

🛠️ MLTSSL 주요 직업군(2025년 기준)

호주 Subclass 189 – 기술 독립 비자(Skilled Independent visa)를 신청하려면, 신청자의 직업이 MLTSSL(Medium and Long-term Strategic Skills List)에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MLTSSL에는 총 212개의 직업이 등재되어 있으며, 이는 호주 정부가 장기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술 직종을 반영한 목록입니다. 

아래는 MLTSSL에 포함된 주요 직업군입니다.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MLTSSL 목록은 호주 내무부(Department of Home Affairs)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호주 내무부 – 기술 직업 목록(MLTSSL)

👷 엔지니어링 및 건설 분야

  • 건설 프로젝트 매니저 (Construction Project Manager)
  • 토목 엔지니어 (Civil Engineer)
  • 전기 엔지니어 (Electrical Engineer)
  • 기계 엔지니어 (Mechanical Engineer)
  • 석유 엔지니어 (Petroleum Engineer)
  • 광산 엔지니어 (Mining Engineer)

💻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 ICT 비즈니스 분석가 (ICT Business Analyst)
  • 시스템 분석가 (Systems Analyst)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Software Engineer)
  • 네트워크 및 시스템 엔지니어 (Computer Network and Systems Engineer)
  • 사이버 보안 전문가 (ICT Security Specialist)

🏥 보건 및 의료 분야

  • 일반의 (General Practitioner)
  • 간호사 (Registered Nurse – 다양한 전문 분야 포함)
  • 의료 방사선 전문가 (Medical Diagnostic Radiographer)
  • 물리치료사 (Physiotherapist)
  • 작업치료사 (Occupational Therapist)

📚 교육 및 학문 분야

  • 초등학교 교사 (Primary School Teacher)
  • 중등학교 교사 (Secondary School Teacher)
  • 특수 교육 교사 (Special Needs Teacher)
  • 대학교 강사 (University Lecturer)

🧮 회계 및 금융 분야

  • 회계사 (Accountant – General, Management, Taxation)
  • 외부 감사인 (External Auditor)
  • 내부 감사인 (Internal Auditor)
  • 액추어리 (Actuary)

🧪 과학 및 연구 분야

  • 생화학자 (Biochemist)
  • 생명공학자 (Biotechnologist)
  • 해양 생물학자 (Marine Biologist)
  • 기상학자 (Meteorologist)
  • 환경 과학자 (Environmental Scientist)

🛠️ 기술 및 숙련 직종

  • 전기공 (Electrician)
  • 배관공 (Plumber)
  • 용접공 (Welder)
  • 목수 (Carpenter)
  • 자동차 정비공 (Motor Mechanic)

반응형

📝 신청 절차 (단계별)

1. 직업 선택 & 기술심사

  • 신청자의 직업이 MLTSSL에 있어야 함
  • 관련 기관을 통해 기술심사(Skills Assessment)를 통과해야 함(직업별로 다름)
  • 예: IT → ACS, 간호사 → ANMAC, 회계사 → CPA Australia, 엔지니어: Engineers Australia 등

2. 영어시험 준비

  • IELTS, PTE Academic, TOEFL iBT 등 중 택 1
  • 높은 영어 점수일수록 포인트 상승 (예: IELTS 7 이상 → +10점)

3. 포인트 계산

계산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5.05.16 - [호주 이민(영주권) 정보] - 호주 독립기술이민 점수 계산법 및 전략

  • 기본 통과점수: 65점 이상
  • 주요 포인트 항목:
    • 나이 (최대 30점)
    • 영어 능력 (최대 20점)
    • 학력/자격 (최대 20점)
    • 경력 (해외/호주 – 최대 20점)
    • 배우자 조건, NAATI, 박사급 STEM 전공 등 가산점

4. EOI 등록 (Expression of Interest)

5. 초청 수령 후 비자 신청

  • 정부가 기술이민자 초청 라운드를 진행하며 고득점자 순으로 초청장 발송
  • 초청장을 받기 전에는 실제 비자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 초청을 받으면 60일 이내에 온라인 신청 진행
  • 신체검사, 범죄기록 조회, 서류 업로드

6. 비자 승인

  • 승인 시 영주권 즉시 부여, 조건 없이 호주 거주 가능

📈 2025년 주의 사항 및 업데이트

  • 기술심사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가장 먼저 시작하는게 좋음
  • 점수는 높을수록 초청 확률 증가
  • 직종마다 경쟁률과 초청 커트라인이 다름
  • 비자 신청 전 필수 서류 완벽히 준비해야 승인 지연 방지
  • 경쟁 심화: 일부 직군(IT, 회계 등)은 80점 이상이어야 초청 가능
  • 초청 빈도: 불규칙 (2024년 하반기부터 줄어들었음)
  • 비자 할당량: 2024–25년에는 16,900건으로 축소됨
  • STEM·보건직군 우대 경향 증가
  • 주정부 비자(Subclass 190)와 지방 근무 비자(Subclass 491)를 함께 고려 권장

🎁 비자 승인 후 혜택

  • 호주 전 지역 거주/이동 자유
  • 의료 보험 시스템 Medicare 가입 가능
  • 호주 시민권 신청 가능 (일정 기간 후)
  • 자녀는 공립학교 무료
  • 가족(배우자/자녀 포함) 동반 가능

호주 영주권에서 Subclass 189는 마치 스펙으로 승부하는 정공법입니다.

비록 경쟁이 치열하고 초청장이 하늘의 별따기일 수 있지만,

자신의 커리어와 실력을 믿고 도전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습니다.

나이, 경력, 영어 실력, 그리고 기술.

이 모든 걸 갖췄다면, Subclass 189로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