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한번 살아볼까? 호주에서 살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한 번쯤은 생각해 본 적이 있는 분들이 많을 거 같아요.
하지만 그 생각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한 가지 큰 조건’이 필요합니다.
바로 영주권(Permanent Residency)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떻게 받아야 하는지 복잡하다는 것!”
그래서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가능한 주요 영주권 획득 경로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보았어요.
호주 영주권(PR, Permanent Residency)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신청자의 조건, 직업, 가족관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가장 알맞은 선택과 전략을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호주 정부의 정책도 계속 변화하고 있어요. 정책 변화와 방향은 아래의 제 글을 참고하세요.
2025.05.05 - [호주 교육 정보] - 🧳 호주 유학생 및 이민자 정책 변화와 방향(2025년)
✅ 1. 기술 이민 (Skilled Migration)
호주에서 가장 일반적인 영주권 취득 방법 중 하나로, 호주에서 필요한 기술이 있는 이민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주요 비자 유형:
- Subclass 189 (Skilled Independent Visa)
- 점수제(Points Test)를 기반으로 함
- 주정부/고용주 스폰서 필요 없음
- 기술직군 리스트 (MLTSSL) 내 직업 필요
- 조건: 만 45세 미만, 영어 능력, 기술심사 통과, 최소 65점 이상
- Subclass 190 (Skilled Nominated Visa)
- 주정부의 지명(sponsorship) 필요
- 영구 비자
- 해당 주에 거주 의무 있음
- Subclass 491 (Skilled Work Regional Visa)
- 지방 지역에서의 거주 및 근무 조건
- 5년짜리 임시 비자 → 3년 거주+일정소득 만족 시 영주권 전환(Subclass 191)
기본 요건:
- 기술심사 통과 (직업별로 다름)
- 영어 시험 (IELTS, PTE 등)
- 나이 제한 (만 45세 미만)
- 점수제 (65점 이상 필요 – 나이, 학력, 경력, 영어 등)
✅ 2. 고용주 스폰서 이민 (Employer-Sponsored Migration)
호주 기업이 필요한 인력을 해외에서 스폰서하여 고용할 때 가능.
주요 비자:
- Subclass 186 (Employer Nomination Scheme, ENS)
- 영주권 직접 부여
- Stream 1: 직접 입사(Direct Entry)
- Stream 2: 임시비자 후 영주권 전환 (TRT)
- Subclass 482 (Temporary Skill Shortage Visa, TSS)
- 일시적 취업비자 (최대 4년)
- 2~3년 근무 후 Subclass 186으로 전환 가능
✅ 3. 졸업생/학생 → 영주권 전환 루트 (Graduate Pathways)
호주 유학 후, 졸업생 비자 → 기술 이민 루트가 대표적입니다.
순서 예시:
- 호주 유학 (2년 이상)
- Subclass 485 (Temporary Graduate Visa)
- 졸업 후 2~4년간 체류 가능
- 경력 쌓기 & 영어점수 향상
- Skilled Migration (189/190/491) 또는 고용주 스폰서 (186)
✅ 4. 투자 및 사업 이민 (Business & Investment Migration)
호주에서 사업을 하거나 투자할 수 있는 자산가를 위한 이민 방식.
주요 비자:
- Subclass 188 (Business Innovation and Investment – Temporary)
- 사업 이민 임시 비자
- 이후 Subclass 888 영주권으로 전환
- 여러 Stream 존재 (Business Innovation, Investor, Significant Investor 등)
요구 조건:
- 최소 자산 및 사업 경력
- 투자금: 보통 125만 ~ 500만 AUD 이상
- 나이 제한(55세), 영어 요건, 주정부 스폰서 등
✅ 5. 가족초청 이민 (Family Migration)
호주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의 배우자, 부모, 자녀 등이 대상입니다.
주요 비자:
- Subclass 820/801 (Partner Visa – Onshore)
- 호주 내에서 신청
- 820은 임시, 801은 영주권
- Subclass 309/100 (Partner Visa – Offshore)
- 해외에서 신청
- Subclass 300 (Prospective Marriage Visa)
- 결혼 예정자 대상 (약혼비자)
- Parent Visas (103, 804, 143, 864 등)
- 부모 초청
- 일부는 대기기간 10년 이상
- 기여형 부모비자 (Contributory)는 빠르지만 비용이 높음 (5만 AUD 이상)
✅ 6. 특수 프로그램
- Global Talent Independent Program (GTI)
- 고급 기술자/전문가/연구자 대상
- 과학, 기술, 인공지능, 사이버 보안, 에너지 등 분야
- 연봉 $175,000 이상 또는 해당 분야 우수성과
- 빠른 영주권 획득 가능
- Distinguished Talent Visa (Subclass 858)
- 문화, 스포츠, 예술 등 분야에서 국제적 업적
✅ 7. 난민 및 인도주의 이민 (Humanitarian & Refugee)
- 박해나 전쟁을 피해 호주에 보호를 요청하는 경우
- Subclass 866 (Onshore Protection), 200~204 시리즈 비자 등
- 별도 심사와 기준이 있음
호주 영주권, 처음에는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각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경로가 존재합니다.
기술이 뛰어난 분은 점수제로!
호주 회사에 취직했다면 고용주 스폰서로!
그리고, 사업가라면 투자 이민이라는 다양한 방법이 있죠.
그 문을 여는 열쇠는 바로 여러분의 전략적인 준비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의 영주권의 관문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고, 호주에 꼭 필요한 인재를 확보하는 쪽으로 맞춰질 가능성이 많아요.
호주 이민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앞으로의 영주권 관련 법이 어떻게 변할지도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을 거 같아요.
'호주 이민(영주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호주 기술이민 두번째: Subclass 190(주정부) & 491(지방) (4) | 2025.05.18 |
---|---|
호주 독립기술이민 점수 계산법 및 전략 (2) | 2025.05.16 |
호주 영주권 정공법: 독립기술이민(Subclass 189) (2)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