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주 독립 기술 이민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민 점수제(Points Test)의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189 비자는 단순히 신청만 한다고 승인되는 비자가 아닙니다.
당신의 나이, 학력, 경력, 영어 능력, 배우자 조건 등 다양한 요소가 점수로 환산되고,
그 총점을 기준으로 연방정부의 초청장을 받아야만 비자 신청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정확한 구조를 몰라서 높은 점수가 안된다면, 점수가 모자라 시간만 보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독립 기술 이민의 점수 산정 항목을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고 다른 비자와의 차이점도 알아볼게요.
이민 점수 산정 방법
✅ 1. 나이 (최대 30점)
나이 | 점수 |
18–24세 | 25점 |
25–32세 | ⭐ 30점 (최고점수) |
33–39세 | 25점 |
40–44세 | 15점 |
45세 이상 | ❌ 0점 (신청 불가) |
✅ 2. 영어 능력 (최대 20점)
시험 기준 | 점수 |
Competent English (IELTS 6.0 이상 or PTE 50 이상 등) | 0점 (필수 요건, 점수 없음) |
Proficient English (IELTS 7.0 or PTE 65 이상 등) | 10점 |
Superior English (IELTS 8.0 or PTE 79 이상 등) | ⭐ 20점 |
영어 점수는 각 영역(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모두 기준을 충족해야 함
✅ 3. 해외 경력 (최대 15점)
관련 직종에서의 해외 경력 (지난 10년 이내) | 점수 |
3년 미만 | 0점 |
3년 이상 ~ 5년 미만 | 5점 |
5년 이상 ~ 8년 미만 | 10점 |
8년 이상 | ⭐ 15점 |
✅ 4. 호주 내 경력 (최대 20점)
호주에서의 관련 직종 경력 (지난 10년 이내) | 점수 |
1년 이상 ~ 3년 미만 | 5점 |
3년 이상 ~ 5년 미만 | 10점 |
5년 이상 ~ 8년 미만 | 15점 |
8년 이상 | ⭐ 20점 |
✅ 5. 학력 (최대 20점)
자격 요건 | 점수 |
박사 (Doctorate) 학위 (호주 또는 인정된 해외 대학) | ⭐20점 |
학사 / 석사 (Bachelor/Master) | 15점 |
전문직 자격 또는 인정된 Diploma | 10점 |
호주 교육기관 수료의 경우 (관련 조건 충족) | 추가 5점 가능 |
반응형
✅ 6. 호주 학위 요건 (Australian study requirement)
- 호주에서 2년 이상 풀타임 학업 완료 시 추가 5점
✅ 7. 지역 거주 및 학업 (Designated Area)
- 호주의 지정 지역(Regional Area)에서 2년 이상 학업 시 추가 5점
✅ 8. 전문 자격증 / 언어 관련
항목 | 점수 |
NAATI 자격 (통·번역 자격 – CCL 포함) | 5점 |
특정 STEM 박사 학위 (수학, IT, 공학 등) | 10점 |
✅ 9. 배우자/파트너 관련 점수 (최대 10점)
배우자 조건 | 점수 |
배우자도 기술심사 & 영어 조건 충족 (같은 직군 리스트 상 직업) | ⭐ 10점 |
배우자 영어 조건만 충족 (Competent English) | 5점 |
배우자가 없는경우 | 10점 |
✅ 10. 주정부 Nomination 또는 친척 스폰서 (190/491에 해당)
- Subclass 189에는 적용 ❌ (해당 없음)
- 190 또는 491 신청 시 가산점 있음 (참고용: 190 → +5점, 491 → +15점)
⚡ 비자별 가산점 차이(독립 기술 이민)
항목 | 189 | 190 | 491 |
주정부 스폰서 가산점 | ❌ 없음 | ✅ +5점 | ✅ +15점 |
친척 스폰서 가산점 | ❌ 없음 | ❌ 없음 | ✅ +15점 (조건 있음) |
거주 지역 조건 | ❌ 없음 | ❌ 없음 | ✅ 지정 지역(Regional) 필수 |
초청 방식 | EOI 후 연방정부 초청 | 주정부 지명 후 초청 | 주정부 또는 친척 지명 후 초청 |
비자별 절차의 차이점
절차 | 189 | 190 | 491 |
기술심사 | ✅ | ✅ | ✅ |
영어시험 | ✅ | ✅ | ✅ |
점수 계산 | ✅ | ✅ | ✅ |
EOI 제출 | ✅ | ✅ | ✅ |
주정부 지명 신청 | ❌ | ✅ | ✅ |
초청 수령 (Invitation) | ✅ | ✅ | ✅ |
비자 신청 | ✅ | ✅ | ✅ |
건강검진/신원조회 | ✅ | ✅ | ✅ |
조건부 거주 요구 | ❌ | 일부 주 ✅ | ✅ 필수 (3년 이상) |
⚠️ 초청 기준(Invitation Cut-off)
- 직업군마다 초청 받는 실제 컷오프 점수는 다릅니다.
- 70점이면 가능성이 있는 수준, 그러나 인기 직종(예: 회계, IT, 간호)은 75~85점 이상 필요할 수 있음
- 매년 이민 할당 수에 따라 변동
🎯 점수 올리는 전략
- 영어 점수 올리기 (IELTS 8 or PTE 79+ → +10점)
- NAATI CCL 자격 취득 (통번역 자격 → +5점)
- 배우자 영어 or 기술심사 받게 하기
- Regional 지역에서 학업 → +5점
- 호주 학위 이수 고려
독립 기술 이민의 점수제는 이민자 개인의 경쟁력, 전략, 노력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예술에 가깝죠.
많은 사람들이 “나는 영어점수만 더 받으면 된다”라고 생각하지만,
막상 계산해 보면 배우자의 조건, 학력, 경력, 심지어 NAATI 통번역, 지방 학업 이력 같은 요소들에서
의외의 가산점을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 내 점수가 몇 점인지, 어떤 항목에서 올릴 수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면 가능성이 더 높아지겠죠.
그리고 그 점수를 기반으로 189뿐 아니라 190, 491 등 다양한 이민 루트를 병행 전략으로 삼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반응형
'호주 이민(영주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호주 고용주 스폰서 비자, 어떤 직업이 가능할까? 직업군 목록(482, 186, 494) (3) | 2025.05.26 |
---|---|
🇦🇺 고용주 스폰서 비자 완전 정복! (3) | 2025.05.26 |
🇦🇺 호주 기술이민 두번째: Subclass 190(주정부) & 491(지방) (4) | 2025.05.18 |
호주 영주권 정공법: 독립기술이민(Subclass 189) (2) | 2025.05.13 |
호주 영주권 취득 방법 총정리!(호주 이민 가이드) (3) | 2025.05.12 |